유튜브나 넷플릭스를 시청하면서 스트리밍이 끊기거나 파일 다운로드 시에 속도가 잘 안 나오면 인터넷 속도 측정을 해보는데요. 인터넷 속도 측정 사이트에 대해서 많은 분들이 오해를 하고 있습니다. 여러 측정 사이트를 놓고 '어디가 더 잘나온다' 또는 '어디가 더 정확하다' 등등 많은 이야기가 있는데 오늘은 인터넷 속도 측정 제대로 하는 방법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인터넷 속도 측정 제대로 하는 방법
인터넷 속도 측정의 원리
인터넷 속도 측정의 원리는 데이터를 주고 받는 것을 측정하는 것입니다.
이 속도를 측정한다는 것은 의뢰한 사람과 주고 받을 데이터 센터 내 정보를 알아야 하는데요.
그 정보를 안다는 것은 해당 데이터 센터를 운영한다는 것입니다. 데이터 센터 상태 그리고 의뢰자와의 거리 등등이 결괏값에 영향을 주겠죠?
즉, 의뢰한 곳과의 인터넷 속도이기 때문에 각 업체마다 결과 값이 다릅니다.
구글과 넷플릭스에서 제공하는 것을 보았습니다. 구글이 더 빠른 것은 서울에 있는 데이터 센터와 연결해서입니다.
넷플릭스(fast.com)가 느린 것은 일본 동경과 미국 힐스보로에서 측정을 해서입니다.
또한, 사람들이 많이 사용하는 곳 또는 시간이라면 속도는 좀 더 느려질 수 있습니다.
한국 기준으로 새벽에 한다면 속도는 더 빠를 수 있겠죠?
인터넷 속도 측정 사이트 추천
업체명 | 접속 주소 |
Fast.com(넷플릭스) | https://fast.com/ |
구글파이버 | https://fiber.google.com/speedtest/ |
벤치비 | http://beta.benchbee.co.kr/home.asp |
한국 정보화진흥원 | https://speed.nia.or.kr/index.asp |
인터넷 속도가 안나오는 것이 어떤 서비스냐에 따라서 속도 측정을 하셔야 합니다. 각 업체별로 인터넷 속도 측정 (다운로드 속도, 업로드 속도)을 제공하는 곳이 있는데요. 통신사에서도 해당 기능을 제공합니다.
통신사의 경우, 로그인이 필요하며 한국 정보화진흥원의 경우 프로그램 설치가 필요합니다.
번거롭다면, 구글 파이버 또는 넷플릭스에서 확인해 보시고 대략적인 중간 값을 유추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더 정확한 정보가 궁금하다면 본인이 가입한 인터넷 회선 업체에서 제공하는 속도 측정을 하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이상으로 인터넷 속도 측정 제대로 하는 방법과 속도 측정의 오해와 진실을 알아보았습니다. 광랜이 기본인 시대이기 때문에 웹서핑을 하면서 답답함을 느끼는 경우는 없지만 고화질 영상 스트리밍이나 용량이 큰 파일을 다운로드할 때 인터넷 속도가 제대로 안 나온다면 측정해 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