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부터 러닝열풍이 불면서 마라톤에 관심을 갖는 분들이 많이 계십니다. 기록을 목표로 한다기보다는 완주에 목표를 두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마라톤 대회에 출전을 생각 중이거나 관심을 갖고 있다면 평범한 일반인들의 마라톤 기록이 궁금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마라톤 일반인 평균 기록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마라톤을 이미 해본적이 있다면 내 기록이 어느 정도 수준인지 확인해 보고 도전하기 전이라면 나름의 목표를 세워볼 수 있습니다.
마라톤 일반인 평균 기록
마라톤이라는 경기는 기록이 중요합니다. 그래서 러너들은 자신이 목표로하는 거리에 맞는 평균 기록을 알고, 이를 통해 자신의 기록을 비교하며 훈련에 동기를 부여합니다.
5km 마라톤 평균기록
5km 마라톤은 짧은 거리의 마라톤으로, 대부분의 러너들이 상대적으로 높은 속도로 완주할 수 있는 코스입니다.
여기서 제공된 기록은 다양한 연령 및 성별 그룹에 따른 평균 완주 시간을 보여줍니다. 이는 초보 러너들이 중간 정도의 기록을 목표로 삼는 것이 권장되며, 중간 정도의 기록은 대부분의 러너들이 달성할 수 있는 합리적인 목표입니다.
성별 / 나이 | 초보(95%) | 중간(50%) | 엘리트(5%) | 세계기록 |
여성 (20대) | 35:27 | 26:07 | 20:47 | 14:44 |
여성 (30대) | 35:27 | 26:07 | 20:47 | 14:44 |
여성 (40대) | 36:25 | 26:49 | 21:22 | 15:08 |
여성 (50대) | 39:39 | 29:13 | 23:16 | 16:29 |
여성 (60대) | 44:29 | 32:47 | 26:06 | 18:30 |
남성 (20대) | 31:29 | 22:31 | 17:40 | 12:51 |
남성 (30대) | 31:29 | 22:32 | 17:40 | 12:51 |
남성 (40대) | 33:09 | 23:43 | 18:36 | 13:32 |
남성 (50대) | 35:47 | 25:36 | 20:05 | 14:37 |
남성 (60대) | 38:53 | 27:49 | 21:49 | 15:52 |
5km 마라톤의 경우, '마라톤 핸드북'에 따르면 일반적인 러너들의 평균 완주 시간은 26~36분입니다.
이는 나이, 성별, 그리고 러너의 등급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습니다. 특히, 나이가 많아질수록 평균적으로 기록이 늘어나는 경향을 보입니다.
10Km 마라톤 평균기록
10km 마라톤은 5km 마라톤보다 더 긴 거리로, 러너들에게 더 큰 도전으로서 이 코스의 기록은 러너들이 더 오랜 시간 동안 뛰어야 하기 때문에 5km보다는 더 긴 기록을 가집니다.
10km 마라톤은 중간 정도의 기록을 목표로 삼는 것이 적절하며, 이는 대부분의 러너들이 달성할 수 있는 합리적인 목표입니다.
성별 / 나이 | 초보(95%) | 중간(50%) | 엘리트(5%) | 세계기록 |
여성 (20대) | 01:13:58 | 54:19 | 43:12 | 29:47 |
여성 (30대) | 01:13:58 | 54:19 | 43:12 | 29:47 |
여성 (40대) | 01:16:43 | 56:20 | 44:48 | 30:53 |
여성 (50대) | 01:23:41 | 01:01:27 | 48:52 | 33:41 |
여성 (60대) | 01:34:18 | 01:09:15 | 55:04 | 37:58 |
남성 (20대) | 01:05:30 | 46:43 | 36:38 | 26:24 |
남성 (30대) | 01:05:30 | 46:43 | 36:38 | 26:24 |
남성 (40대) | 01:07:58 | 48:29 | 38:01 | 27:24 |
남성 (50대) | 01:13:42 | 52:34 | 41:14 | 29:43 |
남성 (60대) | 01:20:30 | 57:25 | 45:02 | 32:27 |
10km 마라톤 참가자들의 기록 역시 성별, 나이, 러너 등급에 따라 다양합니다. 대체적으로 5km 기록에 비해 두 배가 조금 넘는 시간이 소요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하프마라톤 평균기록
하프 마라톤은 전통적인 마라톤의 절반인 21.1km의 거리를 달리는 대회로서 코스의 기록은 더 긴 거리를 달리는 데 필요한 시간을 보여주며, 러너들이 더 오랜 시간 동안 뛰어야 하기 때문에 10km보다는 더 긴 기록을 가집니다.
여기서 제공된 기록은 여러 연령 및 성별 그룹에 따른 평균 완주 시간을 보여줍니다.
성별 / 나이 | 초보(95%) | 중간(50%) | 엘리트(5%) | 세계기록 |
여성 (20대) | 02:44:13 | 02:01:07 | 01:36:14 | 01:05:01 |
여성 (30대) | 02:43:01 | 02:00:14 | 01:35:32 | 01:04:32 |
여성 (40대) | 02:48:23 | 02:04:11 | 01:38:40 | 01:06:39 |
여성 (50대) | 03:04:28 | 02:16:03 | 01:48:06 | 01:13:01 |
여성 (60대) | 03:29:05 | 02:34:12 | 02:02:31 | 01:22:46 |
남성 (20대) | 02:24:57 | 01:43:33 | 01:20:59 | 58:01 |
남성 (30대) | 02:24:57 | 01:43:33 | 01:20:59 | 58:01 |
남성 (40대) | 02:29:29 | 01:46:48 | 01:23:32 | 59:50 |
남성 (50대) | 02:42:27 | 01:56:04 | 01:30:47 | 01:05:01 |
남성 (60대) | 02:57:59 | 02:07:09 | 01:39:27 | 01:11:14 |
하프 마라톤의 경우, 러너의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기록이 느려지는 경향을 보입니다. 마찬가지로, 5km나 10km 페이스보다는 조금 더 느린 페이스로 달리게 됩니다.
풀코스 마라톤 평균기록
풀 코스 마라톤은 전통적인 마라톤의 전체 거리인 42.195km를 달리는 대회입니다.
이 코스는 매우 긴 거리를 달리는 데 필요한 시간을 나타내며, 러너들에게는 더 큰 도전을 제공하며 여기서 제공된 기록은 여러 연령 및 성별 그룹에 따른 평균 완주 시간을 보여줍니다.
풀 코스 마라톤은 서브 3, 4, 5와 같은 목표 시간을 향해 러너들이 훈련에 매진하는 대회로서, 높은 목표를 세우고 열심히 노력해야 합니다.
성별 / 나이 | 초보(95%) | 중간(50%) | 엘리트(5%) | 세계기록 |
여성 (20대) | 05:34:34 | 04:09:44 | 03:20:00 | 02:14:56 |
여성 (30대) | 05:32:25 | 04:08:09 | 03:18:43 | 02:14:04 |
여성 (40대) | 05:40:32 | 04:14:12 | 03:23:34 | 02:17:20 |
여성 (50대) | 06:14:41 | 04:39:42 | 03:43:59 | 02:31:07 |
여성 (60대) | 07:08:03 | 05:19:31 | 04:15:53 | 02:52:38 |
남성 (20대) | 04:57:01 | 03:34:56 | 02:49:13 | 02:01:39 |
남성 (30대) | 04:57:01 | 03:34:56 | 02:49:13 | 02:01:39 |
남성 (40대) | 05:06:20 | 03:41:40 | 02:54:32 | 02:05:28 |
남성 (50대) | 05:32:54 | 04:00:54 | 03:09:40 | 02:16:21 |
남성 (60대) | 06:04:42 | 04:23:55 | 03:27:47 | 02:29:22 |
풀코스 마라톤은 도전해서 완주하는 것 자체가 대단한 일이며, 동호인들의 경우 서브 3을 목표로 훈련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3시간 이내에 42.195km를 완주하는 것을 의미하며 풀코스 마라톤은 도전해서 완주하는 것 자체가 대단한 일이며,


동호인들의 경우 서브 3를 목표로 훈련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3시간 이내에 42.195km를 완주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10KM 단축마라톤에서 상위 10% 안에 들기 위해선 대략 48분 25초 이내에 들어와야 하며, 상위 5% 안에 들기 위해서는 44분 31초 이내로 들어와야 합니다.
전체 참가자 중에 등수로 정가운데, 즉 중간 등수한 사람의 기록이 58분 24초입니다. 따라서 이 시간이 10KM 단축마라톤의 평균 기록이라고 봐야 합니다.